전라도 빨치산

30년독자 2022.07.09 20:24 조회 수 : 2658

한국전쟁 중이던 1950년 9월, 국군과 유엔군의 총반격 작전이 이루어지자 미처 후퇴하지 못한 북한군의 낙오부대와 낙오병들이 대량으로 발생했고, 이들 대부분은 국군과 유엔군의 포로가 되었다. 그러나 일부는 각 지역의 산악지대로 잠적했으며, 그곳에서 현지의 부역자 등과 합세해 새로운 비정규전 조직을 구성하고 전쟁기간 중 후방에서 국군을 교란했다.1950년 10월경, 이들은 모두 2만 5000여 명 정도였으며, 남부군단, 제526군부대, 인민유격대 남부군단 전북도사단, 전남도당 유격대 및 제주도 인민유격대로 구성되었다. 이중에서 지리산을 거점으로 활동하던 부대가 남부군단(南部軍團)이었다.이들은 지리산이 북한군의 점령지역에 있었던 기간 중에는 병력 보충부대의 역할을 했으나 지리산이 고립되자 산악지역을 따라 평강 일대로 이동해 11월 중순경에 재편성을 한 후, 12월 21일 재차 태백산맥을 타고 후방지역으로 내려와 12월 말경 충북 단양에 도착했다.그 뒤 주변지역을 이동하며 활동하다가 제천에서 부대를 재편성하고 명칭을 조선인민유격대 남부군단으로 개칭했다. 국군은 이들을 소탕하기 위해 군·경 합동으로 1950년 10월 4일부터 1953년 5월 1일까지 만 31개월에 걸친 토벌작전을 전개했다. 지리산지구에서는 제11사단, 백야전전투사령부 산하 수도사단·제8사단·제1사단 등이 세 차례에 걸쳐 작전을 수행했다.이후에도 지리산을 비롯한 삼남지역에서 빨치산들의 활동이 계속 나타나자 1953년 12월 1일 박전투사령부의 설치와 함께 계엄령이 선포되었다. 박전투사령부와 한전투사령부, 남부지구 경비사령부로 이어지는 대대적인 토벌 작전으로 인해 1956년 12월 31일까지 빨치산 대부분이 소탕되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페이스북이... 발행인 2022.05.03 48510
공지 배 기자..mail 뉴스 저장 [1] 발행인 2022.05.02 48589
공지 배기자 프로필 [1] 발행인 2022.03.19 50724
공지 배기자 노트 발행인 2022.03.11 50666
508 윤석열 정권 올 12월에 무너져. 민주당은 대선 준비해야. 남로당골수분자 2022.07.24 2680
507 배기자는 쌀을 살로 발음한다 30년 독자도 라성의 보수단체 친박단체 모두 쌀을 살로 발음한다 남로당골수분자 2022.07.16 2429
506 미주통일교 배부전 교주는 답하라 !! [2] 30년독자 2022.07.10 2667
» 전라도 빨치산 30년독자 2022.07.09 2658
504 아베 개죽음에 부쳐 남로당이 성명을 발표했다 남로당골수분자 2022.07.09 2510
503 부전이에게 격려금 한 푼 던지지 않는 호로자식 윤석열 남로당골수분자 2022.07.09 2433
502 ㅠㅠ [1] 30년독자 2022.06.30 2729
501 행복하다는 사실과 크게 다르지 않다. 꾸엑이 2022.06.29 2744
500 625 특집 "인민군. 전라도 무혈 입성하다" [1] 30년독자 2022.06.26 3010
499 특선 영화 "오이란=김마담" 30년독자 2022.06.26 2482
498 미주통일신문과 민족통신의 신뢰도. 남로당골수분자가 애독하는 로동신문 남로당골수분자 2022.06.18 2529
497 배기자의 밤의 연인 남로당골수분자 2022.06.16 2551
496 부전아 불받아라 불받아야 산다 남로당골수분자 2022.06.06 2904
495 전광훈 선지자께거 배기자에게 보내는 메세지 남로당골수분자 2022.06.06 2851
494 현충일. 배부전기자에게 보내는 OST [2] 30년독자 2022.06.05 2680
493 대한민국 방문 file 찬이슬 2022.06.03 2647
492 LA 최고의 주간지 file 발행인 2022.05.27 2701
491 LAPD ? okay. file 발행인 2022.05.27 2633
490 문죄인 30년독자 2022.05.26 2542
489 문근혜를 대북특사? 조까고 있네 무능력 소대가리가 대북특사? 부저니가 대북특사해라 남로당골수분자 2022.05.20 2879

speech_bubble_1.png